상단영역

본문영역

  • 서울
  • 기자명 이수한 기자

'18년 말 서울인구 약 1,005만 명… '고령사회' 첫 진입

  • 입력 2019.09.17 08:29
  • 댓글 0

- 서울시, 인구통계와 시민설문 토대로 서울의 인구변화가 시민에 미치는 영향 조사‧분석
- 65세 이상 인구 지속 증가해 작년 처음으로 14% 초과, 외국인은 23년 만에 6배 이상↑
- 서울 총인구 올 연말~내년 초 1천만 명 이하 예상… 순전출 가장 많은 곳 ‘경기도’
- 인구감소에 대해 시민 39.6% “영향없다”… 자연환경‧주거 ‘긍정’ 사회‧복지 ‘부정’

[내외일보]이수한 기자=서울시 조사 결과 2018년 말 서울시 전체인구는 1,0049,607('18년 서울시 등록 내국인외국인 인구)으로 나타났다. 이중 65세 이상 인구(141만 명)14.4% 차지하며 처음으로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총인구의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하고 있다.(2018년 말 서울시 등록인구 10,049,607: 내국인 9,765,623+등록외국인 283,984명, 서울시 노인인구 비율(진입시기) : 고령화 사회 7%(2005) 고령사회 14%(2018) 초고령 사회 20% 이상(2026년 예상))

65세 이상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 지난 2005고령화 사회(7%)에 진입한 데 이어 '18년 말 고령 사회(14%)에 진입했다. 이와 같은 노령인구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2026초고령 사회(20% 이상)에 진입할 것으로 시는 예상하고 있다.

서울시 전체인구와 서울시 등록 내국인 수는 2010년 이후 꾸준히 감소 추세인 반면, 서울 거주 외국인은 '9545천여 명에서 '18284천여 명으로 23년 만에 6배 이상 증가했다.

, 서울시는 최근 3년 간 서울시 순전출 인구(전출자 수-전입자 수)가 평균 8명 이상인 것을 고려했을 때 올해 말~내년 상반기 서울시 등록인구가 1천만 명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총인구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총인구는 각각 2028, 2032년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꾸준히 감소 추세인 서울시 인구변화에 대해 서울시민 39.6%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부정적37.9%, “긍정적22.5%이었다. 인구감소로 인해 좋아지는 분야로는 자연환경주거’, 나빠지는 분야로는 사회복지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서울시 인구변화 추이와 함께 인구변화가 서울시민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를 처음으로 실시, 분석 결과를 이와 같이 발표했다.

이번 조사분석은 감소 추세에 있는 서울인구에 대한 시민의견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 주민등록자료와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조사를 토대로 이뤄졌다.

서울시는 작년 말 고령사회에 첫 진입한 가운데 생산 가능 연령층(15~64) 인구가 부양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인 부양비는 지속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1834.1%) 노령인구 증가와 생산 가능 인구의 감소가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3년 간 노년(65세 이상) 인구비는 매년 평균 0.6%p 증가한 반면, 유소년(14세 이하) 인구비는 평균 0.3%p 감소했다. , '14년을 기점으로 노년 인구가 유소년 인구를 넘어서며 그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고 있다.

서울시 인구의 자연증가(출생자 수-사망자 수)지속 감소 추세다.('92145천여 명 '1813천여 명) 출생자 수는 급격하게 감소 중인데 비해 사망자 수는 소폭 증가한 결과로 풀이된다.

서울시 인구감소의 가장 큰 요인은 경기도 지역으로 전출인 것으로 조사됐다. '18년에는 46만여 명이 서울로 전입하고 57만여 명이 전출해 순전출 인구는 11만 명이었다. 순전출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135,216), 서울시로의 순전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상도(25,321)이었다.

분석 대상 최초연도인 1992년에도 전입자보다 전출자가 많았고, 그 추세가 지속돼 2018년에는 11만여 명이 순전출로 나타났다.

서울시 전입자는 '99년 약 67만여 명 이후 감소해 '1846만여 명이었으며, 서울시 전출자는 '95883천 명 이후 감소해 '18년에는 57만여 명을 기록했다.

'18년 순전출이 가장 많은 경기도의 경우 작년 한 해 서울로 전입자가 233천여 명, 서울에서 경기도로 전출자가 368천여 명이었다.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서울의 인구감소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을 물은 결과 영향없다” 39.6%, “부정적” 37.9%, “긍정적” 22.5% 순으로 응답했다.

40대는 부정적 의견이 높았고, 50대는 부정적 의견과 영향없음이, 60대에서는 영향없음이 높게 응답됐다. 20~30대에서는 다른 세대에 비해 긍정적 의견이 높았다.

인구감소로 인해 좋아지는 분야로는 자연환경(44.7%), 주거(43.1%), 교통(37.9%), 교육(30.0%) 순으로 응답했다. 반면, 사회(60.9%), 복지(59.4%), 국방(47.5%), 경제(47.0%) 분야는 인구감소가 지속될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평가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총 10개 분야 중 7개 분야(자연환경, 주거, 교통, 교육, 문화, 경제, 사회분야)에서 40대의 부정평가 비율이 높았다.

한편, 서울시는 이번 조사분석결과 같이 시민들의 실생활과 관련한 주제와 이슈를 선정하고 시가 보유하고 있는 행정 빅데이터를 활용해 심층적객관적 통계분석 결과를 올 연말까지 매월 공개할 예정이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이번 조사분석결과를 보면 2018년 말 서울시가 고령사회에 첫 진입했고, 올해 말~내년 초 서울시 인구가 1천만 명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이와 같이 급격한 인구변화에 따라 행정수요도 가파르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보다 면밀한 분석을 통해 관련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놓치면 후회할 이시각 핫이슈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