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칼럼
  • 기자명 고재홍 기자

[칼럼] 한국최초 간척, 벽골제와 계화도·새만금

  • 입력 2020.06.15 15:45
  • 댓글 0

[내외일보=호남]고재홍 기자=새만금은 언제 끝나는가? 내년이면 만 30년이나 전체 공정율은 10% 정도다. 호남평야를 보유해 땅이 부족해 낙후된 것이 아닌데 바다·갯벌보다 훨씬 소득이 적은 사료 등을 재배를 할 뿐이다. 그간 새만금 총예산은 올해까지 13조4024억으로 ‘매몰비용(sunk cost)’이다. 별도 수산물감소 ‘기회비용(opportunity cost)’ 10여 조도 전북 손해다. 25조만 잡아도 도민 181만 명에 1381만여 원(3인 가족 4144만 원)씩 나눠주거나, 익산제3산단 110개인 9250만 평을 보상·조성 완료했다. 계화도 1급 농지(평당 10만원) 2억5천만 평을 살 돈이다. 반면, 매립·조성된 새만금산단은 131만7천 평에 가동업체는 7개뿐이다.

필자는 백제 비류왕 27년(330) 축조로 기록된 ‘김제 벽골제碧骨堤’를 방조제로 평가한다. 고로 ‘한국최초 간척사업’ 현장이다. 원평천·두월천 합류점 2km 하류에 남북으로 쌓은 벽골제는 한국최초·최대 방조제 겸 저수지로, 1925년 동진농조가 제방 중간을 파내 관개수로로 개축해 원형이 훼손됐다. 익산 황등제와 고부 눌제와 함께 호남3대 호수였다. 5개 수문 중 ‘경장거·중심거·장생거’ 외에 최근 벽골제 제1수문 ‘수여거’로 추정되는 국내최대 개수로가 북쪽 제방과 1.3km 떨어진 김제시 방향에서 확인됐다. 제방은 현 2.5km 보다 훨씬 긴 최소 3.8km다.

‘벽골제’는 방조제로 축조돼 제내堤內(제방 안쪽) 깊은 곳은 저수지로 활용되다 세월이 흘러 자연 또는 인공매립 된 것으로 풀이된다. 완전 평야부로 수원확보에 도움이 안 돼 단순 저수지가 아니다. 주변 농지 아래는 온통 갯벌이다. 벽골제 제방 바닥은 해발 4-5m, 제방 상층부는 8m로 백중사리 때 만조수위를 ‘국립해양조사원’ 분석에 의한 해발로 환산하면 4m 안팎임을 고려할 때 제내지역도 해수피해로 방조제를 축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부엽토’를 섞은 판축기법에 의한 제방축조나 통일신라 제방보수 기술인 ‘토낭土囊(초낭草囊)’도 갯벌 유실을 막기 위한 새만금 바닥보호공과 유사한 연약지반 보강공정으로 추정된다.

이완용(1858~1926)이 전라관찰사 시절인 1898년 10월17일, 부안·고창 일대가 해일(쓰나미)로 벽골제와 비슷한 높이 정읍 화호까지 바닷물이 가득 찼다는 기록도 방조제임을 방증한다. ‘무술년 해일’로 사리와 겹쳐 고창 심원, 부안 계화·행안·상서 개암사 입구 사산제·동진·백산과 정읍 화호, 김제 만경에 줄포까지 침수됐다. 벽골제는 새만금 이전 바닷물이 들어왔던 죽산에서 불과 3km 상류다. 벽골제를 수호하고 인명을 지켰다는 백룡은 ‘쌀’을, 벽골제를 훼손한 청룡은 ‘바닷물’을 상징한 듯싶다.

‘일제 간척지’는 하시모토가 1911년부터 간척한 김제 죽산면에 이어 광활·진봉·청하·만경, 익산 춘포·오산, 군산 대야·회현·옥구·옥서, 부안 동진 등이다. 박정희 정부 ‘계화도 농지간척’을 비롯해 산단·도심개발로 군산 내초·오식·비응도 등 높은 갯벌은 대부분 간척을 끝냈다.

새만금과 계화도는 천양지차다. 계화도는 새만금 신시·가력배수갑문 상류 9-12km에 돈지·계화갑문이 있다. 밀물이 돈지·계화갑문에 이르면 갑문을 닫는다. 해수가 내부 수로에 역류되기 때문이나 바닷물이 가장 늦게 들어와 가장 일찍 빠지므로 짧은 시간을 제외하고 집중호우에도 서해 방류에 문제없어 침수 사례도 없다. 썰물에 땅이 드러나는 계화도와 달리 새만금은 대부분 드러나지 않아 깊은 곳은 수심 25-30m다. 농지·레저용지·수변도시는 상류이거나 높은 지역이다. 동진대교 하류 깊이 1-2m 매립농지와 계화도 하류 10-20m 매립토지가 같은 예산이 들까? 만경강과 동진강을 가두어 새만금호 32배 유역면적으로 '상류 홍수'와 ‘하류 밀물(해수)’가 만나면 어떻게 될까? 백중사리 밀물과 홍수가 겹치면 해수역류로 홍수를 방류할 수 없다. 만수용량 29억톤 소양댐처럼 새만금은 평균 24억톤, 최대 30억톤 해수가 밀물에 들어왔던 깊은 바다다. 엄청난 매립으로 8500만평 토지는 사기였다. 언제 팽개칠지 궁금하다. "흙을 전혀 성토치 않고 8500만평 농지를 만든다."던 새만금 최상류 동진강 부근 농지도 매립했다. ‘중대결단(?)’이 없으면 새만금은 ‘100년에 100조’를 투입해도 끝날지 모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놓치면 후회할 이시각 핫이슈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