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독자기고
  • 기자명 내외일보

<독자기고>고졸 취업에 더 많은 관심을…

  • 입력 2011.12.29 12:57
  • 댓글 0

최근의 ‘고졸취업활성화 붐’을 타고 올해 특성화고 취업률이 40%를 넘어섰다. 특성화고 취업률은 2008년 19.0%, 2009년 16.7%, 2010년 19.2% 등 3년 연속 10%대에 머물다 올해 고용노동부, 교육과학기술부 등 6개 부처가 합동으로 특성화고 졸업자를 위한 취업활성화 사업을 추진한 결과, 지난해에 비해 취업률이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그간 우리 사회는 학력제일주의라는 질곡에 빠져 진학 위주의 진로선택으로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높은 사교육비 지출, 구조적인 인력수급 불일치, 대졸 청년실업문제 등 많은 사회적 비용을 부담해 왔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사회문제가 돼버린 학력팽창 문제에 대해 올해 정부가 꺼내든 ‘고졸자 취업확대정책’이라는 카드는 앞서 언급한 특성화고 취업률 증가라는 결과를 통해, 열린 고용사회로 가는 해법이 될 것으로 기대할 만하다.
 
그러나 현재 정부의 고졸자 취업확대정책의 포커스는 특성화고에 맞춰져 있어, 일반계고의 취업희망자는 취업지원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부의 성공적인 고졸취업 확대정책을 위해서는 특성화고 졸업자뿐만 아니라 일반계고 졸업자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물론 일반계고는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교이다. 그러나 일반계고에서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학생들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들도 취업에 눈을 돌려 보지만 특성화고 졸업자에 비해 기능 훈련이 돼 있지 않고, 취업을 도와주는 사회적 시스템도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아 취업하기가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경남교육통계에 따르면 2011년 일반계고 졸업자 33,348명 중 28,652명이 진학하고, 22명 입대, 286명이 취업했다고 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졸업자 중에서 진학자, 취업자, 입대자를 제외하면 모두 무직자 및 기타로 분류되는데, 그 숫자가 무려 4,388명이고, 졸업자의 13%의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그들에게도 취업지원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손길이 필요하다. 졸업 이후 그들을 취업의 길로 안내하기 위해서는 우선 학교 및 교육청의 체계적인 사후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기능인력 양성을 위한 자치단체·정부의 다양한 직업  교육훈련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
 
우리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인턴사업의 경우 올해 중소기업 고졸인턴을 1만2천명에서 2만명으로 늘릴 계획이고, 병무청에서도 입영 연기 대상자를 특성화고에서 일반계고로 확대해 고졸자도 앞으로는 현역병 입영일자를 선택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일반계고의 ‘취업’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일반계고 취업희망자가 취업지원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일반계 고졸자도 우리사회의 당당한 일원으로 설 수 있도록 취업을 위한 학생·학부모의 인식 변화와 학교·자치단체·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대해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놓치면 후회할 이시각 핫이슈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