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칼럼
  • 기자명 고재홍 기자

[칼럼] 새만금 1/10 평가와 계화도와 차이점

  • 입력 2021.03.02 15:26
  • 댓글 0

[내외일보=호남]고재홍 기자=‘새만금’ 이전 ‘계화도 간척’은 보릿고개로 대표되는 식량이 부족했던 박정희 대통령 시절, 1968년 착수해 1978년 준공됐다. 부안군 동진면-계화도까지 1호 방조제와 부안군 하서면 돈지(현 계화면)-계화도까지 2호 방조제를 쌓아 농경지 등 3968ha(1190만 평)를 확장했다. 새만금 수질 개선 4조3천억은 계화도 전체를 몇 번 사고도 남을 천문학적 혈세다.

일제가 섬진강(댐) 옥정호에서 ‘동진강 도수로’를 개설하다 중단한 곳에 계화도 용수공급을 위한 청호저수지까지 도수로 공사가 재개됐다. 당시 신식 운반기구 리어카로 누나와 함께 인부들이 퍼담은 흙을 운반해 주고 받은 ‘전표’ 몇 장으로 아이스케키나 엿을 바꿔먹던 추억이 있다. 집 앞은 호남평야 일부인 정해평야이고, 동북쪽으로 5백m 떨어진 공골 다리(일제 콘크리트 교량)는 바닷물이 들어와 수영하고 고기 잡던 곳이다. 계화도 간척을 지켜봤던 필자가 훗날 익산 중앙동 새만금사업단을 출입하면서도 새만금 실상을 알기까지 1991년 착공 후 6년이 흘러야 했다. 필자가 이럴 정도인데 밀·썰물도 모르고 사상 최초 만경·동진강을 가두고 내부에서 농지와 산단을 얻으려는 새만금에 대해 외지 공직자 등이 쉽게 알 수 없다.

필자가 2004년 ‘새만금 중간평가’에 이어 2017년 ‘새만금 1/5평가’ 연속 칼럼을 쓴 것처럼 세월이 갈수록 잔여 예산이 폭증하고, 남은 공사 기간이 폭증하는 황당 사업이다. 이제 ‘새만금 1/10평가’ 칼럼을 써야 할 때다.

새만금과 계화도는 차이가 엄청나다. 우선 준공 43년인 현재도 계화도 본섬 주변 호수만 빼고 썰물 때 땅이 드러난다. 그러나 새만금은 군산 하제·김제 심포·부안 동진·계화·하서면 일부만 빼고는 드러나지 않는 깊은 바다다. 드러난 곳도 매립에 엄청난 혈세와 세월이 들어갔다. 방조제와 동서도로를 달려보라, 이들 지역만 빼고 엄청 깊어 수심 25m가 넘는 곳도 있다.

둘째, 계화도는 자체에 떨어지는 비밖에 없다. 그러나 새만금은 만경·동진강을 가둬 호수면적 32배 11억2천만 평 유역면적이 있다. 장마가 쏟아지면 유역 홍수는 일부만 저수지 등에 저장되고 새만금호로 쏟아진다. 집중호우 시 밀물, 특히 백중사리 밀물과 만나면 해수 역류로 갑문을 열지 못한다. 새만금은 291㎢(8730만 평) 부지를 만든다는 계획인데 상류 1m 매립농지와 10m 안팎 매립부지를 합친 것이다. 경제성이 아니라 “정신 나갔다.”는 말을 들을 정도 깊은 곳을 포함한 것으로 언젠가 내팽개칠 수밖에 없다.

셋째 계화도는 식량 부족과 해외에서 사 올 달러가 없던 시절이므로 당위성이 있었으나 새만금 착공 시는 배고픔도 해결됐고, 대체식량을 사 올 수 있었다. 식량을 위해 새만금을 착공했다기보다 건설업체나 관련 기관 먹거리·일거리 차원이 훨씬 크다.

넷째, 계화도는 장비 부족으로 지게와 리어카 및 레일 위에 인부들이 밀어 방조제 현장까지 운반하는 당꼬(흙을 담은 나무상자) 등이 총동원돼 전표를 현금으로 바꿔주는 간죠(계산)가 되면 경기가 흥청댔다. 새만금은 대기업이 하청 업체까지 동반해 “새만금 30년에 돈 벌었다는 도민이 없다.” 수산물 생산만 두 배로 증가한 충남·전남과 달리 매년 5천억 손실이다.

“1991년 착공해 1조3천억을 들여 2004년 8500만 평에서 농사 짓겠다.”던 새만금이 지난달 24일 도청에서 열린 ‘새만금위’에서 준공연도를 30년을 연장한 2050년으로 미루었다. 그러나 갈수록 깊어져 전체 공정률은 1/10밖에 안 돼 재차 연장이 우려된다.

대기업 건설업체나 시행기관은 밥그릇이므로 그렇다 치자. 역대 도지사 등 탁상에 앉아 끝없는 장밋빛 청사진을 남발했던 공직자, 보도자료를 맹목적으로 게재한 언론, 엉터리 청사진으로 연구비를 챙겼던 교수진, 정체불명 새만금 단체에서 연봉이나 예산을 챙겼던 무수한 군상들이 ‘새만금 60년(환갑)’에도 가능할지 의문이 드는 현실을 만들었다.

조력발전을 비롯한 갑문 추가 설치 등 ‘신속 해수유통’으로 ‘수산양식업 신속복원·산단·공항·항구·관광’ 등 5대 핵심에 집중투자하고, 농지는 갯벌로 환원하는 ‘발상 대전환과 취사선택’이 국가와 전북이 ‘새만금 족쇄’를 발전동력으로 삼는 지름길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놓치면 후회할 이시각 핫이슈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