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경제
  • 기자명 이수한

대한상공회의소, 규제에 막힌 신산업 기업, 10곳 중 7곳은 ‘사업 지연’

  • 입력 2021.10.21 12:00
  • 댓글 0

商議, 신산업 규제환경 기업인식 조사... 규제애로 겪은 기업, 사업 ‘지연’(72%), ‘축소·변경’(38%) 경험

규제애로 유형 : ‘근거법령 미비’(56%), ‘복잡한 행정절차’(48%), ‘제품서비스 원천금지’(35%) 등

신산업 규제 3대 문제점 : ①포지티브 규제 ②진입장벽 ③법제도 미비

바람직한 정책 방향 : ‘先허용‧後규제 확대’, ‘이해관계 적극 조정’, ‘규제 사전영향평가 강화’ 順

[내외일보] 이수한 기자 = 신산업 분야에서 규제애로를 겪은 기업들은 ▲사업 지연 ▲사업 축소‧변경 ▲불필요한 비용지출 등의 사업차질을 경험했고, 10곳 중 1곳은 사업을 포기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그림1) 규제애로가 사업 추진에 미친 영향
(그림1) 규제애로가 사업 추진에 미친 영향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신산업에 진출했거나 진출할 계획이 있는 기업 244개사를 대상으로 ‘신산업 규제환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규제애로를 경험한 기업들은 ‘사업지연’(71.8%), ‘사업축소‧변경’(37.9%), ‘추가비용 발생’ (34.7%)으로 사업차질을 겪었다고 답했다. 이어 ‘사업포기’, ‘해외진출 추진’으로 응답한 기업도 각각 12.1%, 10.5%였다. <복수응답>

신산업 분야에 진출한 기업들이 겪은 규제애로 유형으로는 ‘근거법령이 없거나 불분명’(55.6%)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어 ‘인증‧허가 등 복잡한 행정절차’(47.6%), ‘제품‧서비스 원천금지’(34.7%), ‘시설‧업력 등 자격요건 제한’(19.4%) 등으로 조사됐다. <기타 1.6%, 복수응답>

# “인증에 판로 막힌 신제품”

소부장 기업 A사는 기존 제품에 신기술을 접목한 신제품을 개발했지만 인증을 받지 못했다. 시험방법이 기존 기술에 맞춰져있어 신기술은 아예 인증을 받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인증을 요구하는 기업이나 공공기관에 납품을 못하고 있다. 수출도 물품코드가 없어 부품단위로 수출해 현지에서 재조립하는 상황이다.

# “모호한 규정에 발목 잡혔던 자율주행 배송 서비스”

ICT 기업 B사는 자율주행로봇 배송서비스와 관련한 모호한 규정 때문에 골머리를 앓았다. 로봇이 주변을 촬영․분석해서 충돌을 회피해야 하는데, 행인 촬영이 가능한지 불분명해 서비스 런칭 여부나 시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컸다. 다행스럽게도 최근에 샌드박스 승인을 받아 서비스는 시작할 수 있었고, 이제 관련규제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 “어려운 행정절차에 시장출시 늦어진 AI의료기기”

의료기기를 제조하는 C사는 신제품 인허가에만 수개월이 걸렸다. AI의료기기에 대한 심사 가이드라인이 있었지만 심사관들로부터 기존 의료기기에서나 필요한 각종 시험과 자료를 제출을 요구받았기 때문이다. 승인보류와 자료보완을 반복한 끝에 인허가 신청 후 수개월이 지나서야 제품을 시장에 출시할 수 있었다.

신산업 규제 3대 문제점 : ①포지티브 규제(30%) ②진입장벽(28%) ③법제도 미비(27%)

기업들은 신산업 규제환경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법에 열거된 허용대상 외에는 모두 금지하는 포지티브 규제방식’(29.9%)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자본금·업력 제한 등 높은 진입장벽’(27.5%), ‘신산업에 적용 가능한 법제도 미흡’(26.6%), ‘공무원의 소극적 태도’(13.1%)를 지적했다.<기타 2.9%> 한편 신산업 분야의 전반적인 규제환경에 대한 평가에서는 5점 만점에 평균 2.8점을 부여한 것으로 조사됐다.

장석인 산업기술대 교수는 “기존에 없던 새로운 기술‧제품‧서비스를 개발하는 기업 입장에서 법에 나열된 것만 허용하는 현행 포지티브 규제체계는 가장 큰 장애물”이라며 “기업 혁신활동을 촉진하고, 신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일을 벌일 수 있는 규제환경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신산업 규제환경 개선에 대한 체감은 반반 ... ‘체감하고 있다’ 49.2% vs. ‘체감하기 어렵다’ 50.8%

신산업 분야의 규제환경 개선을 체감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체감하고 있다’는 응답이 49.2%, ‘체감하기 어렵다’는 응답이 50.8%로 조사됐다.

규제환경 개선 체감에 긍정적인 요인으로는 정부의 ‘지속적인 제도개선’(36.7%), ‘규제샌드박스, 규제자유특구 등 규제유예’(31.7%)를 꼽았고, 이어 ‘인증·규격 등 기준 마련’(19.2%), ‘적극행정 문화 확산’(8.3%), ‘다양한 규제개선 채널 운영’(4.1%) 순으로 응답했다.

규제환경 개선 체감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는 ‘기업현장에 필요한 핵심규제가 아닌 지엽적인 규제개선에 치중’을 꼽은 기업이 56.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정부의 이해관계 조율 부족’(15.9%), ‘새로운 규제강화로 개선효과 상쇄’(14.5%), ‘규제개선에 과다한 시간소요’(13.1%) 순으로 답했다.

바람직한 신산업 규제정책 방향 : ‘규제유예(先허용‧後규제) 확대’(53%), ‘이해관계 적극 조정’(25%) 주문

기업들은 신산업 규제환경 개선을 위한 과제로 ‘신산업에 대한 규제유예 확대(先허용-後규제)’(53.3%)를 가장 중요하게 보았다. ‘정부의 적극적인 이해관계 조율’(25.0%), ‘신설‧강화 규제에 대한 사전영향평가 강화’(13.9%), ‘경쟁국보다 과도한 규제 정비’(6.6%) 등이 뒤를 이었다. <기타 1.2%>

이상헌 대한상의 규제혁신팀장은 “신산업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새로운 시도가 가능한 여건을 만들어주는 것”이라며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는 과감한 규제개혁 뿐만 아니라 신산업에 대한 규제유예 확대, 적극적인 이해관계 조율 등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고 사업추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규제개선이 더 강화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놓치면 후회할 이시각 핫이슈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