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칼럼
  • 기자명 고재홍 기자

<칼럼>광역·기초 의장단, 3당체제 반영해야!

  • 입력 2016.06.09 13:56
  • 댓글 0

 

하반기 원구성을 놓고 전북도의회와 14개 시군의회 물밑 움직임이 달아오른다. 특히 호남1당으로 반백 년을 독식했던 더민주가 총선에서 참패하고 실시되는 의장단 및 상임위원장 구성은 내년 대선과 2018년 지방선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도의회 하반기 의장은 연임을 희망하는 김영배 도의장(익산2)과 황현(익산3) 제1부의장 등 익산출신끼리 대결이 예상되고, 양용모(전주8) 교육위원장 등 3명의 더민주 출신이 출마를 저울질 한다. 때문에 “익산 목천포 다리에서 김·황 의원이 만나 결투를 한 후, 승자의 본선진출이 어떠하냐?”는 농담까지 나돈다. 상임위원장 도전 열기도 뜨겁다.

2014년 전북 시장군수 중 절반의 무소속 당선에 이어 이번 총선은 10명 국회의원 중 국민의당7· 더민주2· 새누리 1명 등 정치지형이 크게 달라졌다. 19대 총선의 민주통합당9· 무소속 유성엽1· 통합진보당 강동원 1명에 비해 상전벽해桑田碧海다. 이에 광역·기초의회 의장단과 상임위원장 구성은 특정당 일색이어서는 안 된다는 여론이다. “반백년 몰표가 낙후와 격차를 가져왔다.”는 자각과 인식전환이 초래한 정치대변혁은 쉽게 원상복구 되지 않을 조짐이다. “강고한 건물도 보수·보강을 게을리 하다 무너지면 새 건물을 세워야 하고, 조강지처가 변하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는 말처럼 민심은 천양지차天壤之差로 변했다.

국민의당. 더민주, 새누리, 무소속 가리지 않고 ‘인물본위’ 투표로 일 잘하는 정치인은 미래를 기약할 수 있으나 ‘놀고먹던’ 구태정치인은 설 자리를 잃게 됐다. ‘공천=몰표‘가 아닌 ’공천=낙선‘이 다반사다. 지역발전 열망이 거세 하반기 의장단 선출도 특정당 일색이 아닌 시대적 변화에 따라 민심을 반영한 다양한 선택이 요청된다.

도의회와 시군의회 현황 등을 알아보자. 38명 도의원 중 비례대표를 포함, 더민주(더) 28· 국민의당(국) 8· 새누리(새) 1· 무소속(무) 1명으로 나눠졌다. 도내 국회의원처럼 국민의당이 다수는 아니나 3당 체제에 무소속까지 다양하다. ‘전주시의회’ 34명도 더22· 국9· 새1· 무2, ‘익산시의회’ 25명은 더16· 국3· 정의당(정)2· 새1· 무3, ‘군산시의회’ 24명은 국15· 더6· 새1· 무2, ‘정읍시의회’ 17명은 더14· 국2· 무1, ‘김제시의회’ 14명은 국12· 더1· 새1, ‘남원시의회’ 16명은 더15· 무1, ‘완주군의회’ 10명은 더6, 국3· 무1, ‘부안군의회’ 10명은 더5· 국4· 무1, ‘고창군의회’ 10명은 더10명으로 더민주 일색이다.

‘무주군의회’ 7명은 더6· 무1, ‘진안군의회’ 7명은 더3· 무4, ‘장수군의회’ 7명은 더5· 국2, ‘임실군의회’ 8명은 더4· 무4, ‘순창군의회’ 8명은 더8명으로 더민주 일색이다. <14개 시군의회는 총 197명 중 더121· 국50· 새4· 정2· (무)20>으로 나뉜다. 일찌감치 국회의원이 더민주에서 국민의당으로 옮겨 출마한 군산 등 도시지역은 국민의당이 우세하고 농촌·산간 지역은 더민주가 우세다. 그간 특정당에 몰표와 지자체장 및 지방의회 독식으로 폐해가 적지 않았다. 국회의원도 공천장과 몰표를 바꿔간 후, 지역발전이나 예산확보에는 관심 없이 중앙당 유력정치인에 줄을 서는 데 몰두해 계파싸움에 관심이 많았다. 호남권은 강원· 제주 빼고 가장 인구가 적은 지역으로 전락했고, 개인소득은 전국최하위다. ‘민주화 과실 따먹기’에 바빴던 정치인만 화려해지고 기반과 토대는 무시됐다. 3당 체제 정립鼎立 배경이다. 지자체장과 지방의회도 특정당 일색이어 ‘견제와 감시를 통한 균형’은커녕 ‘옥상옥屋上屋’으로 이권개입과 부패비리도 적지 않다. 호남권은 물론 전국 정치권도 3당 체제로 변한 것을 기회로 구태적 의장단 및 상임위원장 선출이 계속돼서는 안 된다. 총선민의가 지방의회 의장단 선출에 반영돼야 할 뿐 아니라 ‘견제와 균형을 통한 경쟁구도’로 정치권에 새 바람을 불어 넣고 지역발전에 유리한 방향으로 변해야 한다. 도내 국회의원과 연계를 통한 국가예산 확보에도 필수적이다. 국42.8%, 더32.3%, 새7.6%, 정8.1% 등 다양한 정당득표 민심이 반영되도록 하반기 원구성이 이뤄지길 바라마지 않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놓치면 후회할 이시각 핫이슈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