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문화/예술
  • 기자명 이수한 기자

허애선의 ‘심청가’ 완창 무대는 더욱 기대를 모은다!

  • 입력 2017.10.10 18:44
  • 수정 2017.10.10 18:50
  • 댓글 0

뛰어난 형식미와 절제된 감정 표현의 강산제 바디 ‘심청가’ 선보여

[내외일보]이수한 기자=국립극장 완창판소리 ‘허애선의 심청가’가 10월 21일(토) 하늘극장에서 열린다. 국립극장 완창판소리는 판소리 한 바탕을 처음부터 끝까지 감상하며 그 가치를 오롯이 느낄 수 있는 최초·최장수·최고의 완창 무대다. 1984년 12월 ‘신재효 타계 100주기 기념’으로 처음 시도됐고, 1985년 3월 정례화 된 이래 한 해도 거르지 않고 33년간 총 279회 공연됐다. 박동진·성창순·박송희·성우향·남해성·송순섭·안숙선 등 시대를 대표하는 명창들이 이 무대에 서왔다.

10월 무대의 주인공은 국립창극단 단원 허애선 명창이다. 지난 2009년 남도민요 전국경창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고, 올해 7월 열린 박동진 판소리 명창·명고대회 명창부 대통령상(대상)을 거머쥔 그는 민요와 판소리 두 분야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이색 경력의 소유자다. 허애선은 전라남도 진도 태생으로, 고등학교 2학년이 되서야 늦깎이로 국악에 입문했다. 성우향·안숙선·신영희·윤진철을 사사했고, 40대에 이르러 타고난 재능이 만개하고 있다는 평을 받는다. 소리뿐 아니라 연기에도 관심이 많아 대학 졸업 후인 1993년 극단 미추에 입단해 1년여간 연극 배우의 길을 걸었다. 그렇게 쌓인 연기 내공은 창극 무대로도 이어져 1996년 국립창극단 입단 이래, 여러 작품에서 주·조연을 맡아 활약을 보여왔다.

허애선은 맑고 강단 있는 음색에 남도 특유의 한과 정서를 잘 표현하는 장점을 지녔다. 스승인 성우향 명창은 애절한 소리 대목을 곧잘 허애선에게 맡겨왔다. 같은 이유로 허애선의 목소리는 판소리 다섯 바탕 가운데 특히 애절한 대목이 많은 ‘심청가’에 적합하다는 평을 듣는다. 제18회 박동진 판소리 명창·명고대회에서 ‘심청가’ 중 ‘행선전야’ 대목을 불러 영예의 대통령상을 수상한 만큼, 이번 ‘심청가’ 완창 무대는 더욱 기대를 모은다.

‘심청가’는 구전으로 전승되는 과정에서 여러 유파로 갈렸는데, 허애선이 선보일 소리는 박유전·정재근·정응민·성우향으로 전승되는 강산제 바디다. ‘강산제’는 조선 말기 명창이자 서편제의 시조인 박유전이 전남 보성 강산리에서 만년을 보내며 창시한 유파로, 뛰어난 음악적 형식미와 절제된 방식의 아정한 감정 표현 등이 특징이다. 이번 완창 무대에서는 정화영·김청만이 고수로 나서 창자와 호흡을 맞추고, 김기형 고려대학교 교수가 해설과 사회를 맡는다.

한편 ‘국립극장 완창판소리’는 지난 9월부터 새로운 ‘판’에서 관객을 맞이하고 있다. 원형극장인 하늘극장의 특색을 살려 무대와 객석 사이 물리적·심리적 거리를 좁히는 새로운 디자인의 무대를 선보인 것. 여기에 진정한 판소리 애호가들을 위한 객석을 신설했다. ‘귀명창석’이라는 이름으로 무대 바로 앞에 좌식 객석 총 16석이 설치됐다. 판소리를 제대로 듣는 안목을 지닌 청중을 뜻하는 ‘귀명창’이라는 표현에서, 추임새를 통해 판의 흥과 에너지를 더하는 관객의 중요성을 엿볼 수 있다. 김기형 고려대학교 교수는 “조선시대 판소리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소리꾼 모흥갑이 등장하는 풍속화에서처럼 판을 깔고 앉아 자유롭게 판소리를 감상했던 선조들의 멋스러운 문화가 귀명창석을 통해 되살아날 것”이라 기대했다.

예매·문의 국립극장 홈페이지(www.ntok.go.kr) 또는 전화 02-2280-411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놓치면 후회할 이시각 핫이슈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