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경제
  • 기자명 이수한

전경련, 매출액 500대 기업 대상 2022년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 조사, 대기업 10곳 중 3곳(32.2%), ‘3高’로 인해 하반기 채용에 부정적 영향

  • 입력 2022.09.04 19:46
  • 댓글 0

하반기 신규채용 : ‣채용 없음 17.4%, ‣채용계획 미수립 44.6%, ‣계획 수립 38.0%
* 채용없거나 계획 미수립이유:‣추가인력 수요 없음(30.0%), ‣회사사정 어려움(20.0%) 順

기업 62.0% 수시채용 활용… 이 중 절반(46.3%)은 수시채용 인원 비중 50% 넘어

하반기 채용인원 10명 중 7명(67.9%)은 ‘이공계’, 10명 중 4명(35.8%)은 ‘경력직’

[내외일보] 이수한 기자 = 최근 글로벌 공급망 불안,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증폭되면서 하반기 채용시장이 불투명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하여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2년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대기업 10곳 중 6곳(62.0%)은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신규채용이 없다고 응답했다. 이 중 신규채용 계획 미수립 기업은 44.6%로 전년 동기(54.5%)보다 줄었지만, 채용을 하지 않겠다는 기업은 17.4%로 전년 동기(13.3%)보다 늘었다. 전경련은 “하반기 채용계획을 정하지 못했거나 채용을 하지 않겠다는 기업 비중이 전년 동기(67.8%)보다 줄어든 것은 코로나 이후 일상 회복으로 늘어난 노동수요가 반영된 영향이나, 최근 글로벌 공급망 악화, 고물가‧고금리 등 대내외 리스크가 커지고 있어 하반기 채용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한 대기업 비중은 38.0%로, 전년 동기(32.2%)보다 늘었다. 이 중 작년보다 채용을 늘리겠다는 기업은 37.0%, 채용규모가 작년과 비슷한 기업은 50.0%, 작년보다 채용을 줄이겠다는 기업은 13.0%로 조사됐다. 이는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불구하고, 고용여력이 있는 기업들이 고용 창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경련은 말했다.

채용 부진 이유, ‘추가 인력 수요 없고’(30.0%), ‘회사 내부사정 어려워’(20.0%)

기업들은 신규채용을 하지 않거나 채용 규모를 늘리지 않겠다고 한 이유에 대하여 ‣추가인력 수요 없음(30.0%)을 가장 많이 꼽았다. 그 다음으로 ‣회사 사정(구조조정, 긴축경영 등)의 어려움(20.0%), ‣코로나19 장기화, 공급망 불안 등 국내외 경제 및 업종 경기 악화(12.0%), ‣필요한 직무능력을 갖춘 인재 확보 어려움(12.0%), ‣경력직 채용 또는 수시채용 위주 채용(8.0%), ‣고용경직성으로 인한 기존 인력 구조조정의 어려움(6.0%)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신규채용을 늘리겠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경기상황에 관계없이 미래의 인재 확보 차원(41.2%), ‣신산업 또는 새로운 직군에 대한 인력 수요 증가(29.4%), ‣회사가 속한 업종의 경기상황이 좋거나 좋아질 전망(17.6%)의 순으로 답했다.

대기업 10곳 중 3곳(32.2%), ‘3高’로 인해 하반기 채용에 부정적 영향

올해 물가, 금리, 환율이 모두 상승하는 ‘3高’ 현상으로 기업 경영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하반기 채용계획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10곳 중 3곳(32.2%)은 ‘3高’ 현상으로 인해 채용을 중단하거나 일정을 연기하는 등 하반기 채용에 변화가 있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채용여부 재고려(14.0%), ‣채용규모 감소(12.4%), ‣채용 중단(3.3%), ‣채용일정 연기(2.5%) 순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고물가․고금리‧고환율,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 등 대내외 여건 악화로 인해 하반기 기업 실적과 투자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되는 점을 감안하면, 고용시장은 금번 조사 결과보다 더 위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대기업 10곳 중 6곳 이상(62.0%) 수시채용 활용…이 중 절반(46.3%)은 수시채용 인원 비중 50% 넘어

올해 하반기에는 수시채용이 활발히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은 하반기 채용시장 트렌드 전망에 대하여 ‣수시채용 확대(28.7%)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 외에도 ‣경력직 채용 강화(26.4%), ‣ESG 관련 인재채용 증가(11.6%), ‣언택트 채용 도입 증가(10.5%), ‣인공지능(AI) 활용 증가(9.7%), ‣블라인드 채용 확산 등 공정성 강화(6.6%), ‣4차 산업혁명 분야 인재 채용 증가(5.7%) 등의 순으로 내다봤다.

이러한 전망을 반영하듯, 대기업 10곳 중 6곳 이상(62.0%)은 신규채용시 수시채용을 활용하겠다고 답했다. 이 중 수시채용만 진행하는 기업은 19.8%, 공개채용과 수시채용을 병행하겠다는 기업은 42.2%, 공개채용만 진행하는 기업은 38.0%였다. 한편, 수시채용을 진행하는 기업 가운데 절반(46.3%)은 전체 채용계획 인원 중 50% 이상을 수시채용으로 뽑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인원 10명 중 4명(35.8%)은 ‘경력직’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신속한 대응을 위해 기업들은 실무형 인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인재 채용 시 중요하게 평가하는 요소로 ‣직무 관련 업무경험(19.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직무 이해도(17.5%), ‣전공과 직무 간 관련성(16.3%), ‣지원기업에 대한 이해(12.9%), ‣일반직무역량12.2%), ‣전공 관련 자격증(10.0%), ‣최종 학력(5.8%)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이러한 인식을 반영하듯, 기업들은 올해 하반기 대졸 신규채용인원 10명 중 4명(35.8%)을 경력직으로 뽑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올해 상반기(29.7%)보다도 6.1%p 늘어난 수준으로, 경력직 채용 선호 현상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세부적으로 보면, ‣50% 이상을 뽑겠다는 기업이 29.8%에 달했고, 그 다음으로 ‣0% 이상 10% 미만(23.1%), ‣20% 이상 30% 미만(15.7%), ‣10% 이상 20% 미만(11.6%), ‣40% 이상 50% 미만(10.7%), ‣30% 이상 40% 미만(9.1%) 순이었다.

하반기 채용인력 10명 중 7명(67.9%)은 ‘이공계’… 상반기(61.0%)보다도 늘어

올해 하반기 대졸 채용시장에서는 기업들의 이공계 인재 선호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하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인원 10명 중 7명(67.9%)은 ‘이공계열’ 졸업자가 차지했다. 이는 올해 상반기(61.0%)보다 6.9%p 늘어난 수준이다. 이어서 ‣인문계열(30.8%), ‣의약, 예체능 등 기타 전공계열(1.3%) 순으로 조사됐다. 전경련은 “산업구조의 고도화, 과학기술의 중요성 확대 등으로 기업들은 자연․공학계열 인재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산업 수요에 맞춘 인재 육성을 위해 학과 정원규제 완화, 산학협력 강화 등 고등교육 경쟁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고용시장 개선 위해 ‘기업규제 완화’(42.1%), ‘신산업 분야 지원’(25.6%) 적극 고려해야

기업들은 대졸 신규채용 확대를 위한 1순위 정책과제로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투자 확대(42.1%)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신산업 성장동력 분야 기업 지원(25.6%), ‣정규직․유노조 등에 편중된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11.6%), ‣고용증가 기업 인센티브 확대(9.9%), ‣진로지도 강화, 취업정보 제공 등 미스매치 해소(5.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추광호 경제본부장은 “최근 원자재가격 급등,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수출 둔화 등으로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하반기 고용시장에 부정적 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정부와 국회가 규제 개혁, 신산업 육성, 조세부담 완화 등 적극적인 정책 대응으로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면 기업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놓치면 후회할 이시각 핫이슈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