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경제
  • 기자명 이수한

전경련, 2011~2021년 상장사 인건비 및 실적 추이 분석, 10년간 상장사 직원 1인당 인건비 43.3% 올라… 1인당 매출액 증가율(12.5%)의 3.5배

  • 입력 2022.07.20 06:00
  • 댓글 0

1인당 매출액 마이너스 성장률 기록한 해에도 급여는 꾸준히 올라… 기업 ‘이중고’

‘여행사 및 여행보조 서비스업’, 10년새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율 10.1%p 상승

2009~2019년 제조업근로자 임금상승률과 생산성 증가율 간 격차 韓 8.5%p - G5 1.3%p

[내외일보] 이수한 기자 = 지난 10년간 상장사 직원 1인당 인건비 증가율은 43.3%로, 매출액 증가율(12.5%)의 3.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생산성 향상에 비해 임금 상승이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2011~2021년 상장사 인건비 및 실적 추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장사 직원 1인당 평균 연간총급여는 2011년 5,593만원에서 2021년으로 8,016만원으로 10년간 4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직원 1인당 매출액 증가율 12.5%(2011년 9.6억원→ 2021년 10.8억원)의 3.5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매출액 마이너스 성장률 기록한 해에도 인건비는 올라… 기업 경영악화‧비용부담 ‘이중고’

지난 10개년 동안 상장사 직원 1인당 전년 대비 연간총급여 증가율은 2012년, 2017년, 2021년 총 3개년을 제외하고 전부 1인당 매출액 증가율을 상회했다. 특히, 2013~2016년과 2019~2020년에는 1인당 매출액이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는데도 불구하고, 1인당 연간총급여는 전년 대비 증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반도체 호황기였던 2017년과 코로나19 기저효과 및 IT‧게임‧통신업 등 비대면 업종의 호실적이 두드러진 2021년을 제외하고는 인건비 증가율이 매출액 증가율을 꾸준히 앞질러왔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임금의 하방경직성이 높은 탓에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는 불황기에도 노사협상 등에 의해 임금은 오히려 오르는 경우가 많아 기업들의 경영부담이 이중으로 가중된다”라고 덧붙였다.

‘여행사 및 여행보조 서비스업’, 10년 새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율 10.1%p 상승

지난 10년간(2011~2021년) 매출액 대비 인건비(연간총급여)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업종은 ▶여행사 및 여행보조 서비스업(10.1%p)이었다. 이어서 ▶영화,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9.6%p), ▶고무제품 제조업(7.0%p),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서비스업(6.7%p), ▶인쇄물 출판업(6.5%p), ▶전기 및 통신 공사업(6.1%p), ▶음‧식료품 및 담배 도매업(5.8%p),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4.0%p), ▶선박 건조업(3.8%p), ▶화학섬유 제조업(3.7%p) 순이었다.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율 증가 상위 10개 업종 중 9개는 지난해 직원 1인당 매출액이 10년 전인 2011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영화,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67.7%), ▶음·식료품 및 담배 도매업(△64.4%), ▶여행사 및 여행보조서비스업(△36.7%) 등의 순이었다. 이 중 절반(5개 업종)은 오히려 직원 1인당 인건비가 올랐고, 나머지 4개 업종은 매출액 감소에 비해 인건비 감소율이 낮은 수준이었다. 한편, ▶전기 및 통신 공사업은 매출액이 증가(1.6%)한 것에 비해 인건비가 더 크게 증가(22.7%)한 것으로 조사됐다.

2009~2019년 제조업근로자 임금상승률과 생산성 증가율 간 격차 韓 8.5%p > G5 1.3%p

한국의 노동비용 상승속도는 노동생산성에 비해 가파르며, 이러한 인건비 부담 증가는 국제무대에서도 높은 수준이다. OECD 통계에 따르면, 지난 10년간(2009~2019년)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1인당 노동비용은 37.6% 증가한 반면, 1인당 노동생산성은 29.1% 늘어나 노동비용 증가율이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G5의 노동비용 증가율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각각 23.6%, 22.3%였다. 한국의 제조업근로자 노동비용 증가율(37.6%)은 G5(23.6%)보다 1.6배 높은 수준이었고, 노동비용과 노동생산성 증가율간의 격차는 8.5%p로, G5(1.3%p)보다 컸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생산성 향상에 비해 과도한 임금 인상은 기업경쟁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제품 가격 인상을 부추겨 물가 상승을 초래하는 악순환을 야기한다”고 지적하며,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물가 상승 및 금리 급등 등 대내외적 경영환경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기업들이 생존하고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급격한 임금인상을 자제하고 노사가 함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강구해 나가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놓치면 후회할 이시각 핫이슈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